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제공합니다.
뉴스와이어 제공

‘바다쓰담’ 드론 기반의 울릉도 쓰레기 밀집 구역 분석… 과학적으로 해양 정화 나선다

6월 27일(금) 울릉도 해역에서 드론·수중 드론 활용한 데이터 기반 해양쓰레기 탐색 및 수거
어업·낚시 쓰레기 다수 수거… 외국어 라벨 폐기물 통해 국경 넘는 해양오염 실태 확인
섬 지역 특화 정화 방식 및 해양쓰레기 처리 인프라 개선 필요성 제기

2025-07-02 09:36 출처: 환경재단

울릉도 웅포항 인근 해역에서 진행된 ‘2025 바다쓰담 캠페인’ 수중 정화 활동

서울--(뉴스와이어)--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지난 6월 27일 울릉도에서 ‘2025 바다쓰담 캠페인’의 일환으로 수중 드론을 활용한 해양 정화 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활동은 장마철 집중 유입이 예상되는 해양쓰레기의 실태를 점검하고, 도서지역에 적합한 실질적 해양 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내 해양쓰레기는 연간 약 14만5000톤에 달하며, 이중 상당량이 태풍이나 장마철에 유입된다. 울릉도는 그중에서도 외국 해양쓰레기 유입 비율이 높은 해역으로 꼽히며, 수거 후 처리 시설이 부족해 쓰레기를 육지로 이송해야 하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특히 기상이 악화되면 수거된 쓰레기가 장기간 방치돼 2차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대응 체계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번 활동은 바다를 사랑하는 울릉도 청년들로 구성된 ‘Team_STA’와 ‘고고다이브’, ‘플로빙코리아’, ‘플로깅울릉’ 팀이 협력해 울릉도의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지역인 현포 웅포항에서 진행됐다. 활동에 함께 한 환경재단과 한국 코카-콜라, 참여 단체는 울릉도 특유의 급경사 해저 지형과 강한 조류 환경에 맞춰 사전에 항공 드론과 수중 드론(ROV)을 동시에 투입해 과학 기반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확보한 후 정화 작업을 수행했다.

정화 작업은 사전에 고해상도 항공 드론을 통해 해안선 육상 쓰레기 분포를 파악하고, 수중 드론으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해역의 해저 쓰레기까지 정밀 탐색을 통해 쓰레기 밀집 구역을 선별한 뒤 정화 우선순위를 설정해 전략적으로 수거가 이뤄졌다.

이번 활동에서 수거된 해양 폐기물은 158L로, 낚시쓰레기, 폐로프, 스티로폼 부표, 노끈 등 어업 관련 쓰레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스티로폼 파편, 플라스틱 용기, 비닐 등 생활 유래 플라스틱도 다수 발견돼 해양 생태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현실이 확인됐다. 또한 일부 폐기물에서는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외국어 라벨이 부착된 쓰레기가 다수 발견돼 울릉도 해역이 국경을 넘는 해양오염의 직·간접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했다.

Team_STA 성기철 대표는 “울릉도는 쿠로시오 해류와 쓰시마 난류가 교차하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외국 해양쓰레기가 반복적으로 유입되는 구조”라며 “정화 활동을 꾸준히 이어가려면 수중 쓰레기 수거 전문 장비와 인력, 그리고 수거 후 처리 시스템 등 현실적 기반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환경재단은 울릉도는 동해의 최전선에서 쓰레기 유입과 처리 문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대표적인 도서지역이라며, 특히 처리 인프라가 취약한 만큼 공공과 민간, 지역 사회가 함께 지속 가능한 보호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재단도 지역 단체와 협력해 정화 활동과 인식 개선 캠페인을 이어가며 이를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환경재단은 2020년부터 한국 코카-콜라와 함께 시민참여형 해양정화 캠페인 ‘바다쓰담’을 운영해오고 있다. ‘바다쓰담’은 전국 해안과 도서 지역의 민간 정화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57개 팀, 1만620명의 시민, 372개 기관이 참여해 총 533회의 활동에서 약 160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2025 바다쓰담’ 캠페인은 연중 전국 해안 및 도서 지역에서 지속되며, 앞으로도 시민, 지자체, 해양 전문가들과 협력해 해양 환경 보호 모델을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