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배포 서비스 뉴스와이어가 제공합니다.
뉴스와이어 제공

한화생명 ‘사망보험금 유동화’ 소비자 설문 실시

2025-11-24 11:28 출처: 한화생명 (코스피 088350)

종신보험 상품 불만족 요인

서울--(뉴스와이어)--한화생명(대표이사 권혁웅·이경근)이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시행에 맞춰 종신보험에 대한 고객 인식과 새로운 활용 가치를 분석한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한화생명과 KMAC이 함께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30세 이상 성인 남녀 101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종신보험의 인식 현황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살펴보고, 생명보험의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분석했다.

종신보험, ‘비싼 보험료, 생전 혜택 부재’ 불만 높아

응답자 중 절반(49.4%)은 종신보험의 가장 큰 불만으로 ‘당장 받는 혜택이 없다’고 답했다. 이어 ‘보험금의 가치 하락’(23.3%), ‘유연하게 활용하기 어려운 점’(2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신보험은 여전히 ‘가족 사랑과 책임감’을 상징하지만, ‘비싼 보험료’와 ‘비유동성 자산’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종신보험의 약점을 해결하는 ‘핵심 기능’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는 종신보험의 사후 중심 구조를 생전 중심으로 바꾸는 혁신적 기능으로 주목받고 있다.

조사 결과, 제도 설명 후 매력도는 평균 64.7점, 긍정 응답은 53.4%로 나타났으며, 제도를 통한 종신보험의 부정적 인식 완화 정도도 평균 63.74점, 긍정 응답은 50.7%로 절반 이상이었다.

특히 이 제도가 도움이 될 상황으로는 ‘은퇴 후 노후 생활비’(37.0%), ‘중대 질병 의료비’(24.4%), ‘간병비’(23.3%) 순으로 응답이 집중됐다.

40~50대 기혼 유자녀층에서 높은 공감

이번 조사에서 ‘40~50대 기혼 유자녀 가구’는 종신보험의 전통적 가치(가족 보장)와 신규 가치(생애 자산 활용)에 모두 높은 공감도를 보였다.

이들은 가족 부양과 동시에 본인 노후 대비 니즈가 강한 세대로, 종신보험 유동화 제도에 가장 실질적 수요를 느끼는 핵심 집단으로 분석됐다. 이 연령대는 ‘은퇴 후 생활비 보완’에 대한 니즈가 각각 40대 41.0%, 50대 44.9%로 높았으며, ‘능동적 자산 활용’에 대한 공감도 또한 높게 조사됐다.

고객 신뢰 확보와 서비스 확장 제언

아울러 응답자들은 상품 구조의 투명성 강화와 함께 ‘요양·간병 서비스’ 등 실질적 부가 서비스 결합(68.6%)을 통해 고객 신뢰와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화생명은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에서 ‘생전 자산’으로 확장하는 제도적 혁신이라며, 고객이 생애 전반에서 보험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설문조사 대상

- 연령대별: 30대(256) / 40대(251) / 50대(256) / 60대 이상(256)

- 보험 유무: 종신보험 보유(403) / 미보유(616)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